본문 바로가기 메뉴바로가기
이 누리집은 대한민국 공식 전자정부 누리집입니다.
공식 누리집 주소 확인하기
go.kr 주소를 사용하는 누리집은 대한민국 정부기관이 관리하는 누리집입니다.
이밖에 or.kr 또는 .kr등 다른 도메인 주소를 사용하고 있다면 아래 URL에서 도메인 주소를 확인해 보세요
운영중인 공식 누리집보기
닫기

e영상 역사관

주메뉴

문화영화

북양을 가다(북양 어업)

제작연도 1976

상영시간 10분 29초

출처 북양을 가다(북양 어업)

북양을 가다(북양 어업)

우리나라 원양어업의 발전
-1960년대 중반 오대양에 진출함.
-어획물은 외화를 끌어올린 것과 같음.
-어획물은 냉동시킴.
-15년 동안 눈부신 발전
-3척이던 원양어선이 68년 28척으로 늘어나 본격적인 조업 시작
-선진어업국가와 어깨 나란히 하고 첨단조업을 하게 됨.
-국제어시장에서 기득권 확보로 우리나라 원양어업을 확고히 하는데 뜻이 있음.
-1960년대 초 잡는 어업에서 기르는 어업으로, 근해어업에서 원양어업으로 발돋움함.
-우리나라 어업의 5대양 진출
-국력을 배양했고 그 국력을 바탕으로 세계속의 한국으로 성장
-해외 시장에 직접 수출해서 돌아올 때 많은 외화를 안고 귀국함.
원양어선의 선원들의 일과
-내 나라의 번영 위해 밤에도 일하는 선원들
-운반선이 새로운 장비와 식품을 실어다 줌.
-탱크선의 중간 급유
-고초를 겪기도 하는 선원들
-태풍예보에 안전지대를 찾아 피항하는 어선
-꿈을 키우며 두려움이 없는 선원들의 지칠 줄 모르는 전진
우리나라 조업의 범위와 미래
-1975년말 남태평양 7개 기지에서 324척 15,001명 조업
-인도양 등 8개 기지에서 833척 22,954명 조업
-대서양 11개 기지에서 322척 7,329명 조업
-총 1,489척에 45,284명
-식량 자원 부족, 과학 기술 발달로 여러 나라가 해양 자원에 관심을 쏟고 보존하려 애씀.
-불굴의 개척 정신으로 뭉쳐 국양의 황금어장에서 힘찬 조업을 계속함.

출처 : 북양을 가다(북양 어업)

공공누리가 부착되지 않은 자료는 사전에 협의한 이후에 사용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저작권 정책 보기

영상자료 이용문의 한국정책방송원 방송영상부 영상자료실 : 044-204-828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