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메뉴바로가기
이 누리집은 대한민국 공식 전자정부 누리집입니다.
공식 누리집 주소 확인하기
go.kr 주소를 사용하는 누리집은 대한민국 정부기관이 관리하는 누리집입니다.
이밖에 or.kr 또는 .kr등 다른 도메인 주소를 사용하고 있다면 아래 URL에서 도메인 주소를 확인해 보세요
운영중인 공식 누리집보기
닫기

e영상 역사관

주메뉴

테마사진

한국의 탈춤 이미지
한국의 탈춤

중요 무형문화재 제 69호인 하회별신굿탈놀이는 800여년 동안 하회마을에서 이어져 내려오던 하회별신굿의 한 부분에 속하는 탈놀이다. 고려 중엽 허도령이 신의 계시를 받아 하회탈을 만듦으로써 시작된 별신굿 탈놀이는 1928년 무진년을 마지막으로 전송이 끊겼다가 지난 1973년 가면극연구회의 노력에 의해 복원되어 지금은 안동을 대표하는 민속놀이로 자리 잡고 있다. 별신굿 탈놀이는 무동마당,주지마당,백정마당,할미마당,파계승마당,양반 선비마당 등 모두 10여 마당이 전승되어 있다.굿이 끝나면 탈을 태워 버리는 다른 탈놀이와는 달리 하회탈을 그대로 보존하는 것이 별신굿 탈놀이의 특징이다. 별신굿 탈놀이는 양반으로부터 소외된 당시 서민들이 양바에 대해 마음껏 야유할 수 있는 유일한 무대였던 터라 풍자와 해학으로 가득 찬 대사에 자연스럽고 꾸밈없는 춤사위와 화려하지 않은 의상 등이 독특한 재미를 준다. 오늘날 별신굿 탈놀이는 막걸리 냄새 풍기는 서민들의 소박한 심성을 그대로 표한한 가장 한국적인 탈놀이로 평가 받고 있다

관련사진 강령탈춤 이미지 탈춤공연 이미지 탈춤공연 이미지 한강축제 `탈춤대회` 이미지 봉산탈춤 이미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