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메뉴바로가기
이 누리집은 대한민국 공식 전자정부 누리집입니다.
공식 누리집 주소 확인하기
go.kr 주소를 사용하는 누리집은 대한민국 정부기관이 관리하는 누리집입니다.
이밖에 or.kr 또는 .kr등 다른 도메인 주소를 사용하고 있다면 아래 URL에서 도메인 주소를 확인해 보세요
운영중인 공식 누리집보기
닫기

e영상 역사관

주메뉴

오늘의 사건

01月

※ 선택한 월/연도의 사건을 안내해 드립니다.

0425일 사건

이전글 보기 1 / 5 다음글 보기

민청학련 수사 발표

1974년

신직수 중앙정보부장이 민청학련 사건에 관한 중간 수사 발표를 함. -신직수 중앙정보부장 전국 민주 청년학생 총연맹 사건의 수사상황을 발표. -240명이 조사를 받고 있으며, 주동자 60명 중 과거 공산불법단체인 인민혁명당, 재일조청련, 국내 좌파 혁신계, 기독교 학생단체, 일본 공산당원 등 20명의 배후 조정자, 자금을 대는 등 학생들을 조정. -주모자 39명은 통일전선 전략형태의 4단계 공작을 통해 학원내의 각종 서클활동으로 유신체제와 정부시책을 규탄, 74년 4월 3일을 기해 폭동을 일으켜서 정부주요기관을 점거하고 정권을 인수하려 했으며 노동정권으로 탈바꿈할 계획을 세움. -민청학련 조직계보도, 기자들 취재 모습. 과

상세보기

서울시 각 동장 선거

1957년

150만 서울시내 국민을 위해서 앞으로 2년 동안 일해줄 각 동장 선거 실시. -이승만 대통령 내외도 투표 참여. -서울시내 46만여 명의 유권자들이 동장선출을 위해서 이른 아침부터 투표. -투표장 모습.

상세보기

국군 제 1군 야전기동훈련 개시

1955년

국군 제 1군 야전기동훈련 개시. -4월 25일부터 국군 제1군 야전기동훈련이 중부전선 전역에 걸쳐 개시. -이승만 대통령 헬기편으로 도착, 백선엽 사령관 대동. 기계화 부대 훈련 모습. -5월 7일 광주일대의 각종 기계화부대가 총동원 되어 훈련작전 전개. -한·미 군장성들은 폭격, 탱크, 훈련모습 등을 관전. 5월 5일, 중동부전선 제3군단 2주년 기념식과 제 35,36 예비사단 창설식. -이승만 대통령과 함태영 부통령 사열. -이승만 대통령이 35사단장인 오창근 준장과 36사단장인 하갑청 준장에게 각각 국기와 사단기 수여. -이승만 대통령의 훈시. -이승만 대통령과 함태영 부통령은 각 사단별로 사열식을 받음. -자유를 위하여 평화를 위하여 힘차게

상세보기

4.26

1960년

4.26 데모, 대학교수를 선봉으로 데모가 다시 일어남. -4월 19일의 피어린 투쟁에서 학생들이 흘린 고귀한 피의 댓가를 찾으려고 다시 일어난 데모. -중앙청 앞 광장에 모인 수많은 시민들. -신문기사. -이승만 대통령은 국민이 원하면 대통령직을 사임하고 3.15부정 선거 무효 지시, 내각책임제 개헌을 하겠다고 발표. -거리에 뿌려진 호외를 주워서 읽어보는 사람들. -국회 긴급 본회의 소집, 이승만 대통령 즉시 하야, 3.15 부정선거 무효, 과도내각 아래 내각책임제 개헌 단행, 현 국회의원들 총사퇴 등 시국 수습 4개 방안을 결의. -4월 27일, 국회의 결의에 따라 이승만 박사 즉시 대통령직 사임 선언, 국회에 사임표 제출. -수석 국무위원 허정씨가 대통령의 직무 권한을 대행, 과도기 내각구성 착수. -질서 확립을 위해 학생들 거리 청소, 중부 경찰서 모습, 종로. -부상자를 돕기 위해 가두 모금에 나선 학생들, 모금함에 돈을 넣는 시민들 모습. -평온을 찾은 거리 모습, 오가는 시민들, 교통 경찰관 교통정리, 전차, 차들 모습.

상세보기

제13대 국회의원 총선거

1988년

제13대 국회의원 총선거 -4월 26일 제13대 국회의원 총선거가 열림. -전체 유권자 중 75.8 %가 투표에 참가 -역대 총 선거 투표율에 미치지 못함. -17년 만에 처음으로 소선거구 제도 아래 실시됨. -지역주의 성향이 깊어짐. -평민당이 제 1야당으로 민주당과 자리 바꿈. -공화당이 제 4당의 자리를 잡음. -민주정당이 125석, 평화 민주당이 70석, 통일 민주당이 59석, 신민주 공화당이 35석, 한겨레당이 1석, 무소속 9석의 분포 -신진 인사의 원내 진출이 두드러짐.

상세보기
01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