백두진 제8대 국회의장 피선
1971년제 8대 국회가 7월 26일 개원. -국회의원중 최고령자인 유봉영 의원의 사회로 국회의장, 부의장 선출. -투표와 개표 모습. -국회의장에 백두진 의원, 국회부의장에 장경순 의원, 정해영 의원이 각각 당선. 개원식. -전국무위원, 김종필, 김학렬, 정래혁, 김용식씨 등의 참석. -주한 외교사절, 원로 정치인 참석. -백두진 의장의 개원사와 전의원 선서식. -선서식 후, 박정희 대통령 개원식 참석, 치사. -우리는 조국근대화와 국토의 평화적 재통일을 위해 국민적 단합을 이룩, 국민의 총단합을 위해 국회는 우리모두의 예지와 아량과 협동을 바탕으로 하는 대화의 광장이 되야할 것이라고 강조. 제8대 국회의원들 국립묘지 참배. -헌화하는 백두진, 김홍일, 양일동 의원 등. 김종필 국무총리은 여.야 의원들을 영빈관으로 초청, 축하인사 리셉션. -신민당 당수 김홍일씨와 악수하는 김종필 총리. -만찬회장 스케치.
상세보기아시아나 항공기 추락
1993년아시아나 항공기 추락(전라남도 해남군) -인근 마천 부락 주민들, 적극적 구조 활동 전개 -해남군 여성단체협의회, 이웃 마을, 군부대 등 구조 동참 -김영삼 대통령, 분향소 참배 후 마천 부락 주민들에게 치하
상세보기고 이승만 전대통령 장례식
1965년故 이승만 박사 국립묘지에 안장. -우남 이승만 박사 유해는 3군 의장대에 의해 운구되어 이화장을 떠나 국립묘지로 가는 모습. -수많은 시민들 애도 속에 상주와 소복차림 720명의 남녀가 대형 태극기, 영정, 만장을 앞세우고 광화문 거리를 지나는 이승만 대통령 유해. -대통령 하야 당시 거리 모습과 장례행렬 거리 비교. -광화문 거리 장례행렬 모습. -생전에 이승만 탄신 경축 광화문 거리 모습, 상주 이인수씨 모습, 소복 입은 여인들 손수건으로 눈물 닦는 모습. -정동교회에서의 영결 예배. -정일권 국무총리, 상주 이인수, 허정, 외교사절들 참석, 소복 차림의 여인들 헌화와 찬송. -서울역 주변의 수많은 시민들 애도 속에 573개의 만장을 앞세우고 백만 인파의 장송을 받으면서 동작동으로 향하는 유해, 남대문 주변의 수많은 시민들. -제1한강교를 건너는 유해와 장례행렬. -동작동 국립묘지에 도착된 유해(故 전 대통령 우남 이승만 박사 영결식). -생전에 현충일에 국립묘지에 헌화하던 이 박사. -박정희 대통령 조사를 정일권 총리가 대독(이승만 박사는 몸소 역사를 짓고 그 역사 위에 숱한 교훈을 남겼다고 말함). -안장되는 유해, 허정, 이인수씨 모습과 수많은 시
상세보기63빌딩 준공
1985년해발 264미터, 63층 대한생명 63빌딩 준공(준공식) -5년 3개월 공기 거쳐 완공, 동양에서 가장 높은 빌딩 -하루 상주인구 만 명, 유동인구 2만명 이상 중소도시와 맞먹는 기능
상세보기휴전협정체결과 포로교환
1953년7월 27일 휴전협정체결과 포로교환 - 결사반대에도 불구하고 3년여의 전투를 일단 중지하기로함 - 판문점 전경, 내.외신 기자들 모습, 주변의 군인들 모습 - 유엔군 총사령관 클라크 장군이 휴전협정에 서명 - 휴전으로 인해 새로운국면에 돌입 - 판문점 안의 취재진들 모습 - 판문점 밖 스케치, 조인식을 마치고 나가는 클라크 장군 및 주요 인사들, 북한군 인사들의 모습 - 휴전협정 체결후 포로교환에 의해 귀환하는 용사들 - 귀환하는 유엔군, 한국군 용사들과 맞이하는 용사들의 감격 - 부상포로 후송 모습, 귀환하는 용사들을 기다리는 가족들 - 북한으로 돌아가는 북한군인들 - 상이귀환용사들을 실은 후송헬기가 제3육군병원부근에 도착, 환영하는 주민들, 병원으로 이송되는 상이용사들
상세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