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메뉴바로가기
이 누리집은 대한민국 공식 전자정부 누리집입니다.
공식 누리집 주소 확인하기
go.kr 주소를 사용하는 누리집은 대한민국 정부기관이 관리하는 누리집입니다.
이밖에 or.kr 또는 .kr등 다른 도메인 주소를 사용하고 있다면 아래 URL에서 도메인 주소를 확인해 보세요
운영중인 공식 누리집보기
닫기

e영상 역사관

주메뉴

오늘의 사건

1950년대

※ 선택한 월/연도의 사건을 안내해 드립니다.

0726일 사건

이전글 보기 1 / 5 다음글 보기

백두진 제8대 국회의장 피선

1971년

제 8대 국회가 7월 26일 개원. -국회의원중 최고령자인 유봉영 의원의 사회로 국회의장, 부의장 선출. -투표와 개표 모습. -국회의장에 백두진 의원, 국회부의장에 장경순 의원, 정해영 의원이 각각 당선. 개원식. -전국무위원, 김종필, 김학렬, 정래혁, 김용식씨 등의 참석. -주한 외교사절, 원로 정치인 참석. -백두진 의장의 개원사와 전의원 선서식. -선서식 후, 박정희 대통령 개원식 참석, 치사. -우리는 조국근대화와 국토의 평화적 재통일을 위해 국민적 단합을 이룩, 국민의 총단합을 위해 국회는 우리모두의 예지와 아량과 협동을 바탕으로 하는 대화의 광장이 되야할 것이라고 강조. 제8대 국회의원들 국립묘지 참배. -헌화하는 백두진, 김홍일, 양일동 의원 등. 김종필 국무총리은 여.야 의원들을 영빈관으로 초청, 축하인사 리셉션. -신민당 당수 김홍일씨와 악수하는 김종필 총리. -만찬회장 스케치.

상세보기

아시아나 항공기 추락

1993년

아시아나 항공기 추락(전라남도 해남군) -인근 마천 부락 주민들, 적극적 구조 활동 전개 -해남군 여성단체협의회, 이웃 마을, 군부대 등 구조 동참 -김영삼 대통령, 분향소 참배 후 마천 부락 주민들에게 치하

상세보기

고 이승만 전대통령 장례식

1965년

故 이승만 박사 국립묘지에 안장. -우남 이승만 박사 유해는 3군 의장대에 의해 운구되어 이화장을 떠나 국립묘지로 가는 모습. -수많은 시민들 애도 속에 상주와 소복차림 720명의 남녀가 대형 태극기, 영정, 만장을 앞세우고 광화문 거리를 지나는 이승만 대통령 유해. -대통령 하야 당시 거리 모습과 장례행렬 거리 비교. -광화문 거리 장례행렬 모습. -생전에 이승만 탄신 경축 광화문 거리 모습, 상주 이인수씨 모습, 소복 입은 여인들 손수건으로 눈물 닦는 모습. -정동교회에서의 영결 예배. -정일권 국무총리, 상주 이인수, 허정, 외교사절들 참석, 소복 차림의 여인들 헌화와 찬송. -서울역 주변의 수많은 시민들 애도 속에 573개의 만장을 앞세우고 백만 인파의 장송을 받으면서 동작동으로 향하는 유해, 남대문 주변의 수많은 시민들. -제1한강교를 건너는 유해와 장례행렬. -동작동 국립묘지에 도착된 유해(故 전 대통령 우남 이승만 박사 영결식). -생전에 현충일에 국립묘지에 헌화하던 이 박사. -박정희 대통령 조사를 정일권 총리가 대독(이승만 박사는 몸소 역사를 짓고 그 역사 위에 숱한 교훈을 남겼다고 말함). -안장되는 유해, 허정, 이인수씨 모습과 수많은 시

상세보기

63빌딩 준공

1985년

해발 264미터, 63층 대한생명 63빌딩 준공(준공식) -5년 3개월 공기 거쳐 완공, 동양에서 가장 높은 빌딩 -하루 상주인구 만 명, 유동인구 2만명 이상 중소도시와 맞먹는 기능

상세보기

휴전협정체결과 포로교환

1953년

7월 27일 휴전협정체결과 포로교환 - 결사반대에도 불구하고 3년여의 전투를 일단 중지하기로함 - 판문점 전경, 내.외신 기자들 모습, 주변의 군인들 모습 - 유엔군 총사령관 클라크 장군이 휴전협정에 서명 - 휴전으로 인해 새로운국면에 돌입 - 판문점 안의 취재진들 모습 - 판문점 밖 스케치, 조인식을 마치고 나가는 클라크 장군 및 주요 인사들, 북한군 인사들의 모습 - 휴전협정 체결후 포로교환에 의해 귀환하는 용사들 - 귀환하는 유엔군, 한국군 용사들과 맞이하는 용사들의 감격 - 부상포로 후송 모습, 귀환하는 용사들을 기다리는 가족들 - 북한으로 돌아가는 북한군인들 - 상이귀환용사들을 실은 후송헬기가 제3육군병원부근에 도착, 환영하는 주민들, 병원으로 이송되는 상이용사들

상세보기
1950
1953
1954
1955
1956
1957
1958
1959